📢 안내문
본 내용은 의료 광고가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콘텐츠입니다.
의료법 및 광고 심의 기준을 준수하여 특정 의료 행위를 홍보하거나 유도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으며, 질환 및 치료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
"선생님, 저는 진짜 다 해봤어요.
운동, 단식, 다이어트약, 주사…
그런데도 안 빠져요. 지쳤어요."
진료실에서 자주 듣는 이야기입니다.
처음에는 다들 결심하죠. 굳게 마음먹고 시작합니다.
그런데 초고도비만이라는 현실은, 혼자서 극복하기엔 너무 높고 깊은 벽입니다.
오늘은 초고도비만다이어트로 지친 마음을 안고 병원을 찾는 분들께, 진짜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초고도비만이란 무엇인가요?
일반적인 비만은 BMI(체질량지수) 25 이상을 말하지만,
초고도비만은 BMI 35 이상, 또는 40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즉, 키 160cm 기준으로 체중이 약 90kg~100kg 이상일 경우 해당되며,
단순히 살이 찐 것을 넘어 ‘치료가 필요한 상태’로 구분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고혈압, 당뇨, 수면무호흡증, 지방간, 관절질환 등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단순 다이어트로는 건강한 체중으로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초고도비만, 왜 생길까요?
“그냥 많이 먹어서 그런 거 아니야?”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❶ 유전적 요인
비만은 유전적인 영향이 큽니다. 가족 중에 비만이 많다면 본인도 쉽게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❷ 대사 및 호르몬 불균형
특히 여성의 경우 임신, 출산, 폐경기 이후 체중 증가가 급격해지기도 하고, 갑상선기능저하증 같은 질환이 숨어 있기도 합니다.
❸ 식욕조절 중추 이상
비만이 심할수록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신호 체계가 흔들려, 스스로 배부름을 느끼지 못하거나, 조금만 공복이 되어도 불안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❹ 정신적 스트레스, 불면
지속적인 스트레스, 우울감, 수면장애는 체중 증가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먹는 것이 위로가 되고, 수면이 깨지면 식욕을 조절하기 어려워지죠.

초고도비만다이어트, 어떤 치료가 필요할까요?
초고도비만은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이제는 단순히 '살 좀 빼야지'가 아니라, ‘내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의학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❶ 정확한 진단부터 시작합니다
• 체중과 BMI 외에도, 체성분 분석, 당뇨 여부, 간 기능, 수면무호흡검사 등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어떤 원인이 숨어 있는지를 찾아야,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❷ 약물 및 주사 치료
• 비만치료 주사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초고도비만에서는 일시적인 체중 감소 이상을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 약물치료는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며, 장기적 체중 감량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❸ 수술 치료 – 비만대사수술
• 위소매절제술, 루와이위우회술 등은 식욕과 섭취량을 줄이고, 대사질환을 함께 개선해주는 치료입니다.
• 최근에는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해진 만큼, 체중 100kg 이상 또는 BMI 35 이상이면서 고혈압•당뇨가 있는 분들은 충분히 고려할 수 있습니다.
❹ 심리적 지지와 생활습관 관리
• 단순히 수술만 받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 식습관, 운동, 수면, 스트레스 조절 등 종합적인 관리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초고도비만, 지치셨다면
이제 혼자 버티지 마세요
다이어트에 실패한 게 아닙니다.
/ 초고도비만은 개인의 의지로만 극복하기 어려운 ‘질병’ 입니다.
/ 이미 수없이 시도해보셨고, 지치셨다면, 이제는 몸이 아닌 마음까지 돌보는 치료가 필요할 때입니다.

| 상담문의 : 02-6956-8990
| 홈페이지 : https://webienhospital.com


'위비앙고도비만클리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 안 빠지는 이유가 장내미생물 뚱보균 때문일 수도 (0) | 2025.04.04 |
---|---|
과민성대장증후군 주요환자 계층과 환자통계는 (0) | 2025.04.04 |
연예인 다이어트 식단 일반인이 따라할때 주의사항 (2) | 2025.04.01 |
고도비만 치료법 A to Z (0) | 2025.03.30 |
과민성대장증후군 병원 수소호기검사로 치료방법을 알수 있을까 (0) | 2025.03.30 |